Volunteer

[검정고시] 국어 문학 문제 효율적인 풀이법

도마도다 2024. 2. 21. 09:00

 

 

검정고시 멘토링 봉사활동을 하는 중 국어 문학 문제를 어려워하는 멘티를 위해 제작한 자료입니다.

 

 작품에 딸린 문제를 먼저 훑기

 

  • 지문이 있으면 우선 작품의 제목을 확인한 후 문제와 선지를 훑어본다.
  • 어떤 문제를 해결해야할지 미리 머리 속에 넣고 지문을 읽으면 지문도 더 잘 읽을 수 있고 문제의 답을 찾기도 수월해진다.
  • <보기>에서는 작품의 창작 배경, 작가의 생애, 관련된 다른 작품을 제시해주기 때문에 지문에 대한 배경정보를 얻을 수 있다.
  • 선지의 단어들 (표현법, 전개방식, 단어, 등장인물)에 표시를 하고 익숙해진 후에 지문을 읽으면 문제를 더 빠르고 쉽게 풀 수 있다.

 

 

 

 문제유형

  1. 표현상/서술상의 특징을 고르는 문제
  • 문학작품의 표현방식, 전개방식에 대한 문제가 많이 나옴.
  • 작품을 읽기 전에 선지를 미리 읽어보면서 표현법(예: 의인법/설의법)에 동그라미 표시 해두기
  • 작품을 읽을 때는 이러한 표현/전개 방식이 쓰였을까 유념하며 읽기
  1. 올바른 감상 내용을 고르는 문제(시)
  • 시는 표현방식과 정서가 가장 중요함.
  • 단어나 문장, 표현방식과 그에 따른 감상내용이 적절한지 물어봄 → 자기 생각은 접어두고 작품 안에서 답을 찾기
  • 표현방식에 대한 설명은 맞아도 감상내용이 틀린 경우가 있음. 매력적인 오답 잘 골라내기. (예: “의인법을 통해/ 화자의 슬픔을 나타낸다.”)
  1. 옳은 설명을 고르는 문제(소설)
  • 소설은 등장인물이 가장 중요함. ⁠
  • 문제의 선지를 먼저 읽으면서 등장인물이 누구인지 네모 표시하며 먼저 파악. 지문을 읽을 때도 등장인물에 네모 표시하며 읽기.
  • 소설을 읽을 때는 누가 누구에게 어떤 말을 했는지, 각자가 어떤 상황 속에 있는지, 어떤 특징이 있는지 집중하고 이해하며 읽기
  1. 시어나 표현의 의미를 묻는 문제
  • 선지가 어떤 단어를 가리키고 있는지 먼저 훑기
  • 작품의 맥락 안에서 어떤 의미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
  • (작품 상의 의미가) 긍정인지 부정인지 파악하는 방법, 같은 성질을 지닌 시어끼리 같은 모양으로 표시하는 방법
  1. <보기>에 작품이 창작된 배경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석하는 문제
  • 작품에 대한 정보를 주고 있기 때문에 보기를 꼭 먼저 읽고 문제를 풀기! 안보고 작품 읽으면 손해
  1. 다른 작품과의 공통점/ 차이점을 고르는 문제
  • 훑는 단계에서 자세히 볼 필요는 없고, 지문과 헷갈릴 수 있으니 마지막에 푸는 것이 좋음

 

 

 

 

 주의할 점

  • 문학 문제에서는 정답인지 아닌지 애매하게 느껴지는 선지들이 많을 수 밖에 없어. 모든 선지의 옳고 그름을 가리기보다는 가장 맞는 답을 골라낸다고 생각해.
  • 문제를 풀 때는 자신의 예측이나 상상을 최대한 배제하고 작품 안에 답의 근거가 분명히 나와있는 것만 정답으로 골라야 해.
  • 작품을 읽을 때는 정말 궁금했던 글을 읽는 것처럼 집중해서, 몰입해서 읽기⁠